인물이야기/정치

학자 이영훈 나이 학력 이력 저서 유튜브 프로필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사장, 반일종족주의 저자)

이것조것 2024. 2. 19. 13:22

대한민국의 경제사학자.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경제사이다.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및 농업경제사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였고, 이후 연구의 범위를 넓혀서 근현대 한국경제사 및 한국 근현대사에 전반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에서 정년 퇴임한 뒤 사재를 털어 이승만학당을 세워 강연 및 집필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승만TV라는 유튜브 채널도 만들어 활동 중이다.

 

학자 이영훈 나이 학력 이력 가족관계 프로필

 

이영훈 프로필
이영훈

 

이영훈

李榮薰 | Lee Young-hoon

 

출생

1951년 9월 10일 (72세)

 

형제자매

여동생 이유미

 

학력

경북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

 

 

이력

경제사학회 회장

한국고문서학회 회장

한국제도경제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무역학과 교수

자유통일당 교육원장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사장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0ddvpoS9dg3EFWo62VarOA

 


이영훈 생애 고향 학력 이력

운동권 출신으로 전태일이 분신한 1970년대 초부터 노동운동, 민주화운동을 했다. 1977~1982년에는 지곡서당(芝谷書堂)에서 5년 동안 한학(漢學)과 한문(漢文)을 연마하였다.

1984년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임용되었고, 1989년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직으로 자리를 옮겼다. 2002년 다시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옮겨 2017년까지 재직하였다.

1985년에「조선후기 토지소유와 농업경영」이라는 논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바로 이 논문을 통해서 자본주의 맹아론의 대표주자 김용섭의 경영형부농론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후에도 주로 지주제, 농촌의 구조, 장시, 환곡 등 조선후기 농업경제사 연구에 주력하여 학술활동을 하였다.

 

이영훈 교수

 

2004년 이후에는 조선후기를 벗어나 타인의 연구성과들을 종합하여 한국 근현대사 전반에 대해서 저술을 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그 무렵부터 ‘근현대사 역사서 집필활동’이나 ‘방송 출연’ 등을 때때로 하면서 자신이 앞에 나서기보단 공저자의 저작에 참여하는 경향을 많이 보였다.

2006년에는 여러 학자들과 공동으로 1979년도에 발간된 해방 전후사의 인식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서적인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2권을 공동 집필하였고, 2008년에 발간된 '대안교과서' 집필에 참여했다.

2014년에는 한국경제의 팟캐스트 정규재TV나 자유경제원의 자유티비에 출연하였다. 졍규재TV의 ‘대한민국의 나라만들기 역사’ 에 출연한 이영훈은 여기서 이승만과 박정희을 재평가 하고 그 밖에 4.19와 5.16을 재평가 하자는 주장을 제시했다. 교과서 출판사들이 4.19혁명을 민족통일운동의 상징으로 교육하고 있다며 이를 비판했다.

2017년, 서울대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한 이후, 이승만학당을 세워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이승만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이승만학당에서는 이영훈 외에도 주익종, 김낙년 등과 같은 한국경제사 연구자들이 강연을 진행하고 있으며, 김용삼 기자와 같은 언론인 출신도 있다. 그리고 이승만TV라는 유튜브를 개설해서 반일 비판, 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대한민국 영토의 독도부정, 일본 식민지배의 정당성, 이승만의 생애와 활동, 조선왕조 비판,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견해를 강의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 정규재 프로필 보러가기

 

 

이영훈 한국경제사 연구

조선후기 경제사 연구에 있어서는 김용섭과 함께 중요하게 언급되는 인물이다.

이영훈은 1985년 박사논문을 시작으로 일관되게 조선후기 자본주의 맹아론에 대한 실증적 반박 활동을 하였는데, 특히 1960년대 김용섭 교수에 의해서 제시된 자본주의 맹아론의 하나인 경영형 부농론에 대한 반론으로 '소농 사회론'을 제시한 것이 대표적이다. 원래 그도 김용섭 교수가 제시한 자본주의 맹아론 또는 자생적 근대화론에 입각해서 조선후기 농업경제사를 연구해보려고 했지만, 연구를 하다보니 그것이 들어맞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영훈은 박사논문 이후에도 학술활동을 지속하여 거듭해서 근대이전 한국경제사회는 서유럽의 경제사나 봉건사회와는 전혀 다른 흐름과 특징을 띠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 밖에도 개항기 지주제나, 조선후기 장시, 환곡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2000년대 초반에는 조선후기 경제사에서 수량경제지표를 만들어 연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많은 관심을 얻었다. 조선후기와 개항기 때 뿐만아니라 조선 초기 호적에 관한 연구나 사회사 연구(고대의 奴 관념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영훈 낙성대경제연구소이영훈 정치활동

 

이후 다른 연구자들과의 교류와 새로운 연구성과들의 대두를 바탕으로 식민지근대화 담론을 주도적으로 제기하였다. 사실 일제강점기 경제사에 대한 이영훈 개인의 독자 연구성과는 별로 없는 편이지만 대외적으로는 식민지 근대화론 하면 떠오르는 대표학자로 취급된다. 이영훈의 담론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조선은 자생적으로 근대화, 자본주의 발전을 이룰 수 없었으며, 개항기와 일제강점기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근대적인 문물이 유입되기 시작했다고 본다. 물론 그것이 본래 일제의 의도는 아니었으나 식민지 시대에 한국이 근대적 제도를 경험하였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주로 식민지 근대화론일지라도 정치, 법, 사회, 문화 부문보다는 자신의 전문 분야인 경제사를 중심으로 특히 토지조사사업으로 비로소 근대적인 토지소유 개념이 확립되었다고 본다.

다만, 그는 경제학자 멘서 올슨(Mancur Olson)의 개념을 차용해서 식민지시기 일제에 대해서 정주형 도적(stationary bandits)에 비유하였다. 식민지배 자체는 기본적으로 강압적인 것이고 자선사업은 아니라고 보았다. 이민족이 다른 민족을 지배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압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주요한 도시에 일본의 군사 거점 지역과 군사 철도가 존재했고 한반도에 일본군 2개 사단에 있었으며, 일본은 이러한 물리적인 힘에 기초해 강압적인 지배를 했다고 보았다. 세계사적으로 식민지에는 여러 가지 유형들이 있지만, 영국의 인도지배와는 달리 일본은 조선을 영구적으로 동화시키고자 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강압적인 지배를 통해서 한반도를 홋카이도나 오키나와처럼 일본의 부속영토로 만들려고 했지만 그는 이것은 실현 불가능한 프로젝트를 추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조선은 일본 인구의 절반 이상이 되고 독자적인 문명의 전통을 오랫동안 보존해왔기 때문에 오키나와나 홋카이도처럼 될 수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조선인들은 근대인으로 거듭날수록 자신들에 대한 차별에 대한 저항과 민족의식이 고조되었고 독립에 대한 정치적 요구는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일본이 조선을 영구적으로 영토화하려고 했던 계획은 근본적으로 망상에 의한 프로젝트라고 주장했다. 다만, 한국인을 수탈하기만 하는 도적이 아니라, 법과 제도를 세우고 치안을 개선시키고 경제를 부흥시키는 등 근대적 요소가 있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일본 내부에서 벌어지는 근대화는 달리, 조선인들에게 정치적 권리를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식민지적 근대'였으며. 조선은 일본의 법적 지배가 적용되지 않는 법외지역으로 있었다고 보았다. 일본은 한반도를 자신들의 영토로 편입시키려고 했고 조선인들의 문화와 정체성을 박탈하려고 했는데 그는 이러한 일본의 식민지배야말로 진정한 수탈이라고 주장했다.

 

이영훈 한국경제사

 

이영훈 저서

조선후기사회경제사(1989): 자신의 박사 학위 논문을 정리한 책.

근대조선수리조합연구(일조각, 1992), 공저로 참여

한국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역사적 특질(2000)

맛질의 농민들-한국근세촌락생활사(2001), 공저로 참여

한국경제사(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2), 장시원과 공저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2004), 공저로 참여

한국의 은행 100년사(2004), 공저로 참여

수량경제사로 다시 본 조선 후기(2004), 공저로 참여

식민지 시대의 視座-조선과 일본(2004), 공저로 참여

한국의 유가증권 100년사(2005), 공저로 참여

경제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2005), 김승욱과 공저

새로운 한국경제 발전사(2005), 공저로 참여

동아시아 근대경제의 형성과 발전(2005), 공저로 참여

東亞近代經濟的形成與發展(2005), 공저로 참여

고종황제 역사청문회(2005) : 이태진, 김재호, 이영훈 등의 대담내용을 엮은 책

동아시아근세사회의 비교-신분,촌락,토지소유관계(2006), 공저로 참여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2006), 공저로 참여. 초반부 "왜 다시 해방 전후사인가"를 적었다.

박정희 시대와 한국 현대사(2006), 공저로 참여

조선시대 생활사3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2006), 공저로 참여

대한민국 이야기(2007):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을 구어체로 술술 풀어 대중 친화적으로 쓴 책.

대한민국 역사의 기로에 서다(2007): 안병직과 이영훈의 대담내용을 엮은책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2007), 공저로 참여

한국의 경제발전과 경제정책(2008), 공저로 참여

한일 역사인식 논쟁의 메타히스토리: 국사교과서에 그려진 일제의 수탈상과 그 신화성(2008), 공저로 참여

세계시스템과 동아시아(2008), 공저로 참여

대한민국 건국 60년의 재인식(2008), 공저로 참여

한국경제의 선진화를 위한 제도개혁 과제(2009), 공저로 참여

한국현대 정치외교의 주요 쟁점과 논의(2000), 공저로 참여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2010), 공저로 참여

대한민국은 왜 건국을 기념하지 않은가(2011), 공저로 참여

인촌 김성수(2011), 공저로 참여

대한민국역사(2013)

한국경제사 I, II(2016): 한국경제사 통사 교과서로 그간의 연구내용과 성과를 집대성했다. 일조각 출판

박정희 새로보기(2017)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2018)

반일 종족주의(2019), 공저로 참여.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2020), 공저로 참여.

호수는 어디에(2021)

 

초기에는 단독 단행본도 어느 정도 있었으나, 이후 공저로 부분저술하는 편이 많다. 목록 중에 5권만이 단행본이고, 3권이 2명이서 공저한 책이다.

 

이영훈 저서

 

이영훈 주요 저작

『대한민국 이야기』 (2007년)

이영훈 교수가 EBS 라디오 방송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와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에 수록된 일부 논문의 내용을 쉽게 풀어쓴 책이다. 구어체로 작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파랑 출판사에서 출간되었으며, 오랫동안 기파랑 출판사 출간 도서 가운데 판매량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조선왕조가 패망한 원인, 식민지 수탈론, 친일파청산 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문제와 쟁점들에 대한 이영훈 교수의 해석과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역사』 (2013년)

기파랑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제목 그대로 대한민국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다룬 책이다.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의 건국기점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건국과 이승만정부, 5.16군사정변과 박정희정부, 한국의 경제발전 등을 다루고 있다. 별도의 장으로 북한의 역사를 다루고 있기도 하다.

 

『한국경제사』Ⅰ, Ⅱ (2016년)

일조각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선사시대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한반도와 그 주변지역의 경제사와 사람들의 경제 생활을 통사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총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권은 전근대사, 2권은 근현대사 부분을 서술한 것이다. 이영훈 교수는 이 책으로 2017년 월봉저작상을 수여받았다.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 (2018년)

거의 모든 한국인들로부터 추앙받고 있는, 조선왕조의 네번째 국왕 세종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다룬 책이다. 세종을 성군으로 규정하는 것은 군왕과 양반을 중심으로 한 제한적 시각에서 조선왕조를 평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선시대는 신분제 사회이며 차별과 억압의 시대였으며, 이를 인구 대비 노비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17세기 중반 조선 인구는 약 1,200만명이었는데 , 이 가운데 노비는 30~40%에 이르는데 중국과 비교해도 지나치게 많다는 것이다. 이처럼 조선시대 노비가 많았던 배경을 세종이 도입한 ‘종모법(從母法)’에서 찾고 있다. 유럽은 근대에 이르러 자유롭고 독립적인 개인이 탄생할 수 있었으나 조선은 양반중심의 폐쇄적인 사회라고 비판하였다. 반면 조선왕조에서 가장 뛰어난 군왕으로 영조를 꼽는다. 영조는 종모법을 종부법으로 바꿔 노비 수를 줄였기 때문.

 

『반일 종족주의』 (2019년)

김낙년, 주익종, 정안기 등과 같은 경제사학자들을 비롯해 김용삼 기자 등과 함께 공저로 집필한 책이다. 일본을 악(惡)으로 간주하는 세계관을 반일 종족주의로 간주하며, 한국사회에서 등장한 반일 종족주의의 기원과 형성, 그리고 확산 과정을 역사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아리랑』, 식민지 수탈설, ‘강제동원’, 쇠말뚝 등 식민지배와 관련된 문제 뿐만 아니라 독도, 백두산 등 한일관계 및 한국근현대사의 주요 쟁점별로 저자들의 주장을 담고 있다.

 

이영훈 반일 종족주의

 

이영훈 여담 일화

전 국회의원으로 문재인 정부의 국무총리와 행정안전부장관을 지낸 김부겸이 바로 그의 매제이다. 이 때문에 김부겸이 민주당 당 대표 경선에 출마했을때 당내 경쟁자들이 이 점을 거론하며 흠집을 냈는데, 이를 두고 연좌제식 인신공격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당시 김부겸의 아내(즉, 이영훈의 여동생)도 이 점을 하소연 했을 정도.

대학 재학 시절에는 운동권 학생이었다. 이 사람뿐만 아니라 소위 뉴라이트라고 분류되는 이들 중에는 한때 운동권, 극좌였다가 우파로 전향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영훈과 동창이었던 허수열 교수는 "이영훈은 학생운동을 하다 군대에 끌려간 운동권으로 나를 '의식화 교육의 대상'으로 삼았다"면서 "나는 달라진 것이 없는데, 그들이 달라졌다", "1970~80년대 고도성장의 부작용이 드러나던 시기에 중국 사회주의가 평등사회 모델로 많이 언급됐다. 그러나 1991년 사회주의 환상이 무너지자 운동권이 대거 식민지근대화론으로 옮겨갔다. 이것이 '뉴라이트'의 탄생이다. 극좌에서 중간까지만 갔으면 좋았는데, 극우로 간 것이 문제였다."라고 지적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일본 제국을 찬양하는 근거로 자주 인용되는 학자이다.

 

조선을 깔 때 한국인이 조선시대에 대해 긍정적인 환상을 가지고 있다고 자주 주장하는데 근거는 없다. 당장 사극이나 여론, 통념만 해도 조선이란 나라 자체를 긍정하는 의견들은 거의 없다. 본인이야말로 실제 한국인과의 일체의 소통을 거부한 채 환상속의 한국인을 만들어서 인신공격을 하는것. 주변인들에 의하면 정작 본인이야말로 사회주의에 환상을 가지고 있었던 학생운동가였다.

2019년에 이영훈과 만났다는 한 클리앙 유저의 글이 있다.

2022년 3월 1일 시사기획 창에 출연해 논란이 됐다.

식민지배에 대해 철저히 경제적인 관점으로 보면서 한국인이 물질주의와 배금주의가 심하고 조선시대부터 신이나 사후세계의 개념이 부족하고 정신적 가치가 약하다고 까거나 무속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매춘이 심하다고 말하거나 진보 진영에서 중요시하는 인권,자선,환경단체에 가입하지 않거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혐오가 심하다고 비판하는 등 정치성향이나 가치관이 혼합되어 있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2023 2 3 KBS 이승만이 미국에서 연설한 육성 자료를 입수해 유튜브에 업로드하였는데, 당시 일제강점기를 직접 겪은 이승만의 연설 내용과 일제에 대한 인식이 이영훈의 주장과는 정반대라는 사실을 있다. 이영훈 본인이 설립한 단체의 이름이 이승만학당임을 생각하면, 상당히 아이러니한 부분이다.

 

> 김부겸 프로필 보러가기

 

 

더 많은 인물 정보는 아래 인물이야기 카테고리에 있습니다.

 

 

'요즘이야기/인물이야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일상의 이야기가 있는 블로그

harrison-jo.tistory.com

로또번호생성기 하단 링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그리드형